안녕하세요! 오늘은 투자 관련 용어 중 많이 들어보셨을 AUM과 MDD에 대해 쉽게 설명드리려고 해요. 투자와 경제 이야기를 하다 보면 이런 약어들이 종종 등장하는데, 처음엔 낯설어도 알고 나면 유용하답니다.
AUM: 운용 자산 규모 (Assets Under Management)
AUM은 쉽게 말해 운용 중인 자산의 총합을 의미해요.
예를 들어, 여러분이 어떤 펀드에 투자했다고 해볼게요. 그 펀드에 투자된 돈이 100억 원이라면, 그 펀드의 AUM은 100억 원입니다.
AUM은 투자자가 얼마나 신뢰하고 자금을 맡겼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예요. 규모가 큰 펀드일수록 더 많은 사람이나 기관이 그 펀드를 믿고 있다는 의미일 수 있죠.
하지만, AUM이 크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에요. 운용 실적이나 전략도 함께 살펴봐야 합니다!
MDD: 최대 손실률 (Maximum Drawdown)
MDD는 투자에서 가장 많이 손실을 본 정도를 뜻해요.
쉽게 예를 들어볼게요!
- 펀드의 가격이 10만 원에서 시작했다고 가정해요.
- 어느 날 가격이 12만 원으로 올랐다가, 이후 8만 원까지 떨어졌어요.
- 이 펀드의 MDD는 가장 높은 가격인 12만 원에서 가장 낮은 가격인 8만 원까지 하락한 비율, 즉 **-33.3%**입니다.
MDD는 투자의 위험도를 평가할 때 자주 쓰여요.
MDD가 낮을수록 안정적으로 운용된 투자 상품이라는 뜻이에요. 반면, MDD가 높다면 가격 변동이 심하다는 의미라 주의가 필요할 수 있답니다.
정리
- AUM은 투자 상품의 신뢰도와 인기를 보여주는 지표예요.
- MDD는 투자 시 리스크를 가늠하게 도와줘요.
이 두 가지를 잘 이해하면, 내가 투자하려는 상품이 얼마나 안정적이고 믿을 만한지 판단하는 데 큰 도움이 돼요.
오늘 내용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, 투자도 공부처럼 차근차근 쌓아가 보아요!
ROI와 PnL 개념 정리: 투자 성과를 높이는 필수 지표
안녕하세요, 오늘은 투자에서 자주 사용되는 두 가지 개념인 ROI(Return on Investment)와 PnL(Profit and Loss)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. 투자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텐데요, 이
jaiken.tistory.com
'경제,투자 > 경제 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OI와 PnL 개념 정리: 투자 성과를 높이는 필수 지표 (4) | 2024.12.31 |
---|
댓글